한전공대 설립, 도와주진 못할 망정 '딴지'만 걸어서야
한전공대 설립, 도와주진 못할 망정 '딴지'만 걸어서야
  • 윤용기
  • 승인 2020.02.13 11: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용기 취재본장
윤용기 취재본부장

교육부가 '학교법인 한전공대' 인가 결정을 또 다시 보류했다. 2022년 3월 대학 개교에 차질이 우려된다. 교육부는 지난해에 이어 지난 달 31일 열린 심사위원회에서 보류 결정을 내렸다. 오는 20일 재심의하겠다는 얘기다. .

추가로 요구한 보완사항이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아무래도 최대 관건인 재원마련 대책이 아닐런가 싶다. 물론 한전은 교육부가 또다시 보류결정을 내리자 당혹해 하고 있다.
이날 법인설립 인가가 의결되면 지난해 9월 27일 법인 창립총회를 통해 구성한 ‘학교법인 이사회’를 공식 출범시키겠다는 구성이 일단 틀어졌기 때문이다. 

한전은 이를 일단 수긍하면서도 대학 개교를 위한 나머지 절차들은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별 상관이 없다는 투다.
믿는 구석이 있어 느긋할까.
그렇지 않으면 믿는 구석이 있어서 일까.
한전측의 이러한 태도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한전공대 설립 때문이라는 생각이 퍼뜩 떠오른다.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로 채택됐다.  지난해 7월 나주를 방문한 문 대통령이 언급한 것 처럼 "한전공대가 예정대로 개교할 수 있도록 계속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것도 맥을 같이한다.

한전공대는 국가의 에너지 기술을 넘어 인류의 에너지 문제 해결을 목표로 ‘에너지 특화 연구중심 대학’으로 키워나갈 계획이다. 
에너지 신소재, 에너지 인공지능(AI), 차세대 전력 그리드, 수소에너지, 에너지 기후 및 환경 등 중점 연구분야로 해서 말이다.
학생과 교직원의 규모를 1200명으로 하되, 개교 이후 2050년까지 전력·에너지 분야 글로벌 톱(Top)10 공과대학으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이를 위해 한전은 대학부지로 나주 혁신도시 한전 본사 인근 부영CC 부지를 선정했다. 지난해 4월에는 전남도 및 나주시와 이행협약 체결을 통해 1670억 원 상당의 부지 제공과 함께 개교 후 10년간 2000억 원의 재정지원을 약속받았다. 정부도 같은 해 7월 최소 지자체 수준의 재정을 지원한다는 내용의 대학설립 기본계획을 의결했다.

한전공대 설립에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한다는 자체로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한전공대를 단순히 나주라는 중소도시에 자리한 대학이 아닌 세계 속의 에너지 특화대학으로 만들어 국가와 지자체와 함께 상생발전을 꾀한다는 게 목표다.  전남도가 한전 개교에 발맞춰  '4세대 원형 방사광가속기' 유치에 적극 나서는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전망처럼 글로벌 에너지시장 규모가 2030년까지 약 3경 원대로 커 나갈것이라는 얘기는 어찌보면 방향을 제대로 잡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산업구조가 취약한 전남도로서는 이만한 먹거리산업이 또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에너지시장 선점을 위한 갈길은 너무 멀다. 우리의 에너지 분야 기술이 선진국과의 격차(약 4.5년)가 여전히 크기 때문이다. 그만큼 에너지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개발(R&D)과 전문 인력 양성이 절실한 것은 이러한 논리에서다.
그래서 한전공대 설립에 대한 해법은 미래 에너지 시장을 선도할 기술혁신과 전문 인재 양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자는 전략에서 찾을 것 같다. 

갈 길이 멀어 하루가 아쉬운 판국에 한전공대 설립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며 딴지걸기에 나선 정당이 있다. 특정보수언론과 자유한국당의  반대 여론은 도를 넘어선 상태다. 특정보수언론도 틈만나면 한전공대 설립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설파한다. 반대하는 이유가 지역민의 입장에서 본다면 설득력도 떨어지고 편협하기만 하다. .

반대의 논지는 대충 이렀다. “문 대통령 임기 내에 서둘러 개교하려고 온갖 편법까지 동원하고 있다”, “전국 대학에 에너지 학과가 없는 곳이 없고,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이 무더기로 문을 닫을 판인데 또 대학을 짓겠다”,  “한전공대 설립에 전력기금을 쓰는 것은 국민의 지갑을 털어먹는 것이다”, “국민과 국가 경제는 물론 한전 주주에게 손해를 끼친 김종갑 사장과 이사진은 배임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는 등. . .

한마디로 문재인 대통령의 한전공대 공약은 “지역표 노린 586과 영혼 없는 관료·경영진의 합작품"이라고 매도한다. 한전공대 잘 만들어 미래의 에너지산업을 선점해나가야 한다는 조언이나 충언은 어디에도 없다.
세계적적으로 성공한 혁신도시들의 중심에는 그 지역 산업클러스터를 선도하는 명문 공과대학이 있다.
프랑스의 소피아 앙티폴리스, 스웨덴의 시스타 사이언스 파크, 미국의 실리콘밸리, 필란드의 울루 테크노파크 등의 혁신도시가 그렇다. 이런 사실은 말하지 않은 특정언론의 반대 논리는 빈약해 보인다.

지역성과 진영논리에 기댄 채 반대를 위한 반대는 이쯤에서 접어야 한다. 지금은 효율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지혜를 제공할 때다.
한전공대가 에너지산업을 선도해 가는 세계적인 대학으로 우뚝 서야한다는 광주전남 도민의 절박감 때문이다. 에너지산업이 우리의 미래 먹거리산업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도와주지는 못할 망정 고추까리를 뿌릴 필요는 굳이 없지 않을까 싶다.

최신 HOT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