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단추를 잘못 꿰면 두고두고 일을 그르치기 십상이다.
특히 조직이 크고 노조가 있는 광주시 산하 공기업 수장을 뽑을라치면 시민의 혈세로 운영된 만큼 그에 걸맞는 비중 있는 인사를 골라 써야 한다.
역으로 캠코더 인사라고 해서, 자신과 가깝다고 해서, 다음 재선을 위해 필요한 인물이라고 해서 무작정 써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과거 사회적 평판이 그리 좋지 않고, 경력이 다소 미진했다손 치더라도 공공기관의 수장으로 임명하면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더욱 잘하겠지' 하며 무리하게 강행한 인사는 도중하차 하고 마는 경우가 더러있다.
‘ME TOO’사고로 인한 공직기강 해이 내지는 불미스런 일로 말이다.
이용섭 시장 입장에서는 자신 만큼은 돈을 한 푼도 받지 않고, 청렴하고 깨끗한 인사를 했다고 자평할지 모르지만 시민들은 그렇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는 데 안타까움이 있다.
외려 이 시장만이 ‘착한 시장님’ 신드롬이 빠져 있다는 얘기도 들린다.
요즘 수사를 받고 노조와의 갈등관계에 있는 광주환경공단이 대표적인 사례다.
광주시 산하 4대 공기업에 속한 만큼 광주시의회에서 인사청문회를 실시했고, 그 결과 현 청문보고서는 김강열 이사장을 썩 괜찮은 사람은 아니라고 했다.
그러자 이용섭 시장은 논란이 된 김 이사장에 대해 “선거 때 자신을 도왔거나 캠프에서 활동했다는 이유만으로 기관장 인사를 비판하고 반대해서는 안된다”고 설명하면서 일부 언론의 탓으로 돌렸다.
그는 “능력이 안되는 사람을 캠프출신이라는 이유로 임명하는 것은 문제지만, 전문성과 리더십, 자신의 철학과 가치를 함께하는 사람을 발탁해 추진동력을 확보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시장은 임명 배경과 관련, "채용공고에서 부터 후보자로 추천되기까지 적법한 절차와 과정을 거쳐 선정된 후보인 점, 인사특위에서 전문성을 높이 평가하고 부적격 의견을 제시하지 않은 점, 30여 년간 환경운동가로서 시민운동에 최선을 다해온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광주발전에 헌신할 기회를 주기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시장의 이런 소신 임명에도 불구하고 광주환경공단은 바람 잘 날이 없었다.
지난 2019년 3월 인사청문회 당시 시민사회단체 이사장 재직 시절의 급여 부정 수령의혹이 제기됐고, 이게 불씨가 되어 급기야 업무상 횡령 혐의로 고발조치 됐다.
취임 이후에도 홍보기념품을 우회적으로 납품한 혐의와, 규격미달 마이크로 샌드 약품 사용 의혹, 부정채용 의혹이 불거졌다. 다행이 경찰에서 일부 혐의만 인정해 기소의견으로 검찰로 넘긴 상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김 이사장의 ‘민영화’ 발언이 나오면서 노조와 날선 공방을 벌이고 있다.
김 이사장은 민영화 발언을 절대로 한 적이 없다고 강변하고 있지만 노조는 자신들의 생존권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좌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외부 시각에서 볼 때 공단은 광주시가 100% 출연 또는 출자한 공기업인 만큼 김 이사장 독단으로 이러한 발언을 해서는 안된다. 또한 그럴만한 위치에 있지도 않다.
그럼에도 논란으로 이어진 것은 김 이사장과 노조간 신뢰와 노조와의 소통에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
만에 하나 김 이사장의 거짓말 논란과 함께 자질론 시비로 이어지게 된다면 노사갈등도 첨예화될 수밖에 없는 분위기다.
노조에서 “김 이사장은 민영화 발언을 사과하고 사퇴하라"고 촉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광주시 환경 복지 정책의 최첨병에 선 환경공단이 흔들릴 경우 147만 광주시민들을 위한 복지 환경 개선도 심히 우려될 수밖에 없다.
인사청문회 보고서 당시 김 이사장에게 지적됐던 “조직 운영 및 경영능력은 다소 미흡하다고 보인다”내용이 다시 회자되고 있다.
지금 이용섭 시장은 자신의 말대로 김 이사장에 대한 인사를 제대로 했는지 되돌아 보고, 그렇다면 평점을 얼마나 주고 있는지, 새삼 궁금해진다.
본인 사진을 걸고 기사화 하시는것 보니 딱해서 한말씀 드립니다
진정 시민의 소리를 전하시려거든 복붙(복사붙여넣기)하지마시고 발품팔아 소외된 시민의 답답한 마음이나 전달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