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은 남아 돌고, 가격 폭락에 전남 농심 '멍'든다
쌀은 남아 돌고, 가격 폭락에 전남 농심 '멍'든다
  • 김경욱 기자
  • 승인 2021.12.16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년 만의 풍년 시름 깊어지는 농민
전남 재고 36만t 최근 5년내 최다
쌀값 300원에 소비량은 계속 줄어
정부, 공급과잉 시장격리 뒷짐

쌀은 남아도는데 정부가 시장격리에 뒷짐만 지고 있어 전남 농민들의 걱정이 태산이다. 쌀값 급락이 불 보듯 하기 때문이다. 

최근 쌀값 폭락 우려속에 영암 학산면 농민들이 과잉생산 벼 시장 격리조치를 촉구하는 현수막을 걸었다. /독자제공
쌀값 폭락을 우려해 영암 학산면 농민들이 과잉생산 벼 시장 격리조치를 촉구하는
현수막 시위에 나섰다 / 독자

15일 농협중앙회 전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남지역 조곡(粗穀·수확한 그대로의 알곡) 재고는 36만1000t으로, 최근 5년 내 최다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2만4000t보다 무려 61.2%(13만7000t) 많은 양이다.

하지만 정부는 올해 매입 계획량을 전년(33만1000t)에 비해 5.7%(1만9000t) 올리는 데 그쳤다.
전남 배정량은 8만8800t에서 9만1000t으로, 2.5%(2200t) 늘린데 불과했다. 
올해 전남 지역의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10만1838t(14.8%) 증가한 78만9650t이 될 것으로 보인다.

‘6년 만의 풍년’에 올해 전남 쌀 재고량은 최근 5년 내 최다를 기록했다. 그렇지만 밥 한 공기에 드는 쌀값은 300원도 채 안된다.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7.7㎏에 지나지 않았다.
하루 158g, 한 끼에 52.7g을 먹는 셈이다. 전년(59.2㎏)보다는 1.5㎏ 감소하고, 10년 전(72.8㎏)보다는 15.1㎏ 줄었다. 식당에서 공깃밥 한 공기를 만드는 데 드는 쌀이 100g인데, 하루 두 공기도 먹지 않는 셈이다.

1g당 2.6원인 산지 쌀값에 비춰 환산한 한 끼(52.7g) 쌀 가격은 138.6원이다. 세끼를 꼬박꼬박 먹더라도 500원이 채 되지 않는 415.7원에 불과하다. 농민들이 아무리 줄기차게 요구해도 밥 한 공기(100g)당 쌀값은 262.9원으로, 300원 선을 넘지 못한다.

농민들에게 돌아가는 수매가도 1㎏당 ‘커피 한 잔’ 값이 나오지 않는다. 이달 말 윤곽이 드러나는 올해 수매가를 조곡 40㎏당 6만2000~6만3000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농민에게 돌아가는 돈은 ㎏당 1550~1575원이 된다.

이처럼 쌀 소비량이 지난 1984년(130.1㎏) 이후 한 해도 빠짐 없이 줄고 있는 속에 쌀값마저 떨어지고 있다. 이달 5일 기준 산지 쌀값(정곡 20㎏)은 5만2586원으로, 지난해 같은 날보다 3.2%(-1741원) 떨어졌다. 수확기 들어 쌀값은 두 달 연속 하락 추세다.

이 같은 쌀 푸대접 속에 지난 50년 동안 전남 쌀 재배면적은 4분의 1이 감소했다. 올해 전남 쌀 재배면적은 15만5435㏊로, 50년 전인 1971년(20만8083㏊)보다 25.3% 줄었다. 50년 새 없어진 쌀 논밭은 5만2648㏊로, 이는 여수시(5만1225㏊) 전체 면적을 웃돈다.

우리나라 곡물자급률과 식량자급률(2019년 기준)은 각각 21.0% 45.8%으로, 코로나19 대유행과 기후변화에 따른 전 세계적 식량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은 다분하다.

이러한 농민들의 고충 속에 지난해 정부는 수확기 쌀값이 목표가격 보다 낮을 경우 쌀값 일부를 보전해주는 ‘쌀 목표가격제’(변동직불제)를 시행 14년 만에 폐지했다.
대신 ‘쌀 자동시장격리’ 등 강력한 조치로 쌀값을 보장하겠다는 장치를 마련했지만 정작 첫해부터 유명무실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게다가 내년 국가예산은 사상 첫 600조원 시대를 맞으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농업예산 비중은 2.8%(16조8767억원)로 역대 최소 수준으로 주저앉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