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환경단체들이 광주시가 습지생물보전 및 활용을 위해 친환경건설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광주습지생물다양성 5차 세미나가 24일 오후 광주광역시의회 1층 회의실에서 ‘습지생물보전 및 활용을 위한 친환경건설’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발제는 김흥식 호남대학교 건축학과 교수가 맡았다. 김 교수는 녹색건축 관련 인증제도 및 정책에 대해 설명한 후 친환경건설 개발사례에 대해 소개했다.
친환경적 건축이라고 하면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과 ‘친환경건축’이라는 용어가 많이 쓰인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자원과 환경오염차원을 넘어서 후세대의 생존기반이 고갈되지 않도록 하고, 복지후생이 현세대보다 감소되지 않도록 계획된 개발과정을 말한다.
친환경건축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일환으로 건설의 기본계획, 설계, 생산, 유지관리 그리고 폐기에 이르기까지 건설의 전 과정에 걸쳐 총체적으로 에너지 및 자원절약, 자연환경과의 조화 등을 통해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건축이다.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공동으로 ‘친환경건축물(Green Building) 인증제도(2013년부터 ‘녹색건축 인증제도’로 명칭 변경)’를 시행해왔으며, 2012년부터 ‘친환경주택(Green Home)’제도를 마련해 아파트 20세대 이상, 연립/다세대주택 30세대 이상의 경우 에너지 절약을 의무화했다.
특히 2013년부터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에 따라 공공기관의 경우 ‘녹색건축물인증’과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을 의무적으로 시행 중이다.
녹색건축 인증제도는 자재생산, 설계, 시공, 유지관리, 폐기 등 건설과정 중 거주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를 평가 및 인증하는 제도다. 녹색건축물 활성화 및 기술개발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에 따른 친환경 건축물의 건축을 유도, 촉진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공동주택이나 업무용 건축물, 학교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그 밖의 건축물 등을 대상으로 하며, 11개 인증기관을 통해 4단계(최우수-그린1등급, 우수-그린2등급, 우량-그린3등급, 일반-그린4등급)로 나뉜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이어 김흥식 교수는 친환경건설과 관련된 사례를 소개했다.
경기도 화성시는 봉담읍 동화리, 상리, 와우리, 분천리 일원 24만여 평에 대한 택지개발을 하면서 100개의 조사구를 선정해 식물군집구조 등 13개 항목에 대해 정밀조사를 실시했다.
그래서 육지지역을 녹지성과 자연성을 고려해 10개 등급으로 표시한 녹지자연도와, 생태적 특성에 따라 자연환경 등급을 표시한 생태자연도에 따라 생태자원과 활용자원을 구분했다.
이에 따라 생태등급Ⅰ지역과 생태등급Ⅱ지역의 주요 야생조류 서식공간은 ‘자연보전 및 복원지역(38.8%)’으로, 생태등급Ⅱ지역 중 자연지형 유지로 경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역은 ‘자연지형 보전지역(19.1%)’으로, 생태등급Ⅲ지역으로 택지개발의 주요 가용지가 될 지역은 ‘개발가능지역(42.1%)’으로 구분했다.
또한 생물서식처 보존 및 환경조성을 위해 ▲지구 내 보존식생을 지역의 원생자연 등의 녹지축에 연결 ▲생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녹도 조성 및 네트워크 ▲녹지 훼손지역 내 가치 있는 식생의 생태이식 복원 ▲귀중식물 서식지는 생물보호구로 지정해 계획수립 및 관리 등의 계획도 세워졌다.
김흥식 교수는 “보존이냐 개발이냐 하는 것은 건축 쪽이 예전부터 가지고 온 딜레마다”며 “보존과 개발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가 항상 중요한 화두다”고 말했다.
그는 “지속가능한 개발은 여러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건설에서도 이러한 개념을 써서 친환경 분야와 접목시키자고 하여 친환경건축이 나오게 된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세미나는 광주광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광주환경운동연합, 광주생명의숲, (사)광주전남숲해설가협회, 광주하천네트워크, 생명을노래하는숲기행 등 환경단체들이 주최했으며, 광주전남녹색연합과 전진숙 의원실이 주관해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마다 열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