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무공 이순신과 거북선[42회]-어정쩡한 장문포 해전
충무공 이순신과 거북선[42회]-어정쩡한 장문포 해전
  • 김세곤 역사 칼럼니스트
  • 승인 2023.06.21 12: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594년 2월 1일에 겸사복 이상이 선조 임금의 분부를 가져왔다.

이순신 난중일기 (현충사 전시)
 

“경상감사 한효순이 장계하기를 ‘좌도의 적들이 합하여 거제로 몰려들어 장차 전라도 지경을 점령할 것이다’하였으니 그대는 삼도수군을 합하여 적을 무찌르라”는 유서였다.

2월 5일에는 도원수 권율의 회답이 왔는데 명나라 심유경이 이미 화친을 결정하였다는 내용이었다. 3월 6일에 이순신은 명나라 선유 도사

담종인에게서 전투 금지명령서를 받았다. 당시 명나라와 일본은 강화 협상 중이었다.

3월 7일에 이순신은 몸이 극도로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억지로 일어나 앉아 “지금 화의를 맺고자 하는 것은 속임수와 거짓말이라면서 우리 임금에게 급히 아뢰겠다”고 답장하여 군관 정사립에게 명나라 선유도사에게 보내게 하였다. 3월 10일에 이순신은 조정에 명나라의 전투 금지 명령서를 받았다는 사실과 왜군 동향을 보고했다.

4월에 백성들은 굶주림이 심했다. 백성들이 굶주린 나머지 서로 잡아 먹는 상황까지 이르자 선조는 자신을 죄책하는 교서를 내렸다.
(선조수정실록 1594년 4월 1일)

조경남은 『난중잡록』에서 이렇게 적었다.
“4월 들어 굶어 죽은 시체가 길에 깔렸는데, 굶주린 백성들이 다투어 그 고기를 먹고 죽은 사람의 뼈를 발라서 즙을 내어 삼켰는데 사람의 고기를 먹은 자는 발길을 돌리기 전에 모두 죽었다. 슬프도다! 처음에는 왜적의 분탕질을 당하고 나중에는 탐관오리가 긁어 먹고 겸하여 흉년이 들고 부역은 중하여 이 지경에 이르렀다.”

그런데 조선 수군은 전염병이 더 심각했다. 이순신이 4월 20일에 올린 장계를 읽어보자.
“금년 1월부터 진중에 전염병이 크게 번져 1월부터 4월까지 3도 수군의 사망자는 1,304명이고 앓고 있는 사람이 3,759명입니다.”
그랬다. 조방장 어영담(1532~1594)도 4월에 전염병으로 죽었다.

이런 와중에 1594년 3월의 2차 당항포 해전 이후 별다른 전투가 없었다.
명나라와 일본은 강화 협상중이었다. 그런데 선조의 생각은 그렇지 않았다.
8월 21일에 선조는 영의정 류성룡과 대화하면서 ‘이순신이 일을 게으르게 하는 건 아니냐’는 말을 한다.
9월 3일에 선조의 밀지가 도착했다. 이 날의 『난중일기』를 읽어보자.

9월 3일
비가 조금 내렸다. 새벽에 밀지가 들어왔는데 ‘수륙 여러 장수들이 팔짱만 끼고 서로 바라보면서 한 가지라도 계책을 세워 적을 치는 일이 없다.’고 했다.
3년 동안 바다에 있으면서 그런 적이 없다.
여러 장수들과 함께 맹세하여 목숨을 걸고 원수 갚을 뜻으로 날을 보내고 있지만, 험한 소굴에 웅크리고 있는 적을 경솔히 나가 공격할 수 없을 뿐이다. (...)”

사진 2 임진일기

이런 가운데 조정에선 장문포 수륙작전이 추진되었다. 9월 19일에 삼도체찰사 겸 좌의정 윤두수는 조선군 단독으로 거제도를 공략하겠다고 선조에게 보고하여 승인을 받았다.

9월 27일에 도원수 권율과 의병장 곽재우, 김덕령 등의 육군이 연합함대에 합류했고, 9월 29일에는 장문포의 왜군 진지를 공격하였다. 그런데 왜군은 진지만 지키고 조금도 항전하려고 하지 않았다.
10월 1일에 경상우수사 원균과 전라우수사 이억기는 장문포를 공격하기로 하고, 이순신은 충청수사 이순신(李純信)과 함께 영등포를 공격했다. 그러나 왜군은 응전하지 않아 해질 무렵에 장문포로 돌아왔다.

그런데 사도 2호선이 육지에 배를 대려 할 때, 왜적의 작은 배가 곧장 달려와서 불을 던졌다. 다행히 불은 꺼졌으나 사도군관은 처벌을 받았다.

10월 3일에도 이순신은 장문포에서 싸움을 걸었지만 적들은 대항하지 않았다.
10월 4일에 이순신은 곽재우ㆍ김덕령 등과 함께 수륙 공격을 하였다.
곽재우ㆍ김덕령이 수백 명의 병력을 이끌고 산성에 주둔하고 있는 왜군을 공격하고, 수군은 선봉대를 장문포로 보내 들락날락하며 싸움을 걸었지만 왜군은 방어전만 펼쳤다.
저녁에도 수군이 나서서 왜군을 위협했으나, 왜군이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 결국 이순신은 10월 8일에 한산도로 귀환하였다.

9월 29일부터 10월 4일까지 실시된 장문포 상륙전투는 비록 패하지는 않았지만 승리라고 볼 수도 없는 어정쩡한 전투였다.
조선 수군은 2척의 적선을 격침시켰다.
하지만 조선 수군도 야간에 왜군의 기습공격을 받아 사후선 3척이 실종되고, 사도 2호선이 불타는 피해를 입었다. 나중에 윤두수는 책임을 지고 좌의정에서 물러났다.                                                                                                                                                          <‘임진왜란과 호남사람들’ 저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