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척지를 다시 바다의 품으로!
간척지를 다시 바다의 품으로!
  • 김영대 기자
  • 승인 2009.03.23 09: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도 소포마을 주민, 대흥포 간척지 ‘역간척’ 모색
땅 주인 합의도출 실패…주민회의 통해 지속 설득

간척지를 다시 바다로 돌려주자.
  
진도군 소포마을 주민들이 간척지를 갯벌로 되살리기 위해 지혜를 모으고 있다. 대흥포 간척지 하구둑을 개방하면 112만㎡(34만평)의 간척지가 다시 바다의 품으로 돌아간다. 아직 땅 주인들과 구체적인 합의를 도출하지는 못했지만 주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 진도군 소포리 ‘역간척’ 지역. 1977년 완공된 이곳 영흥포 간척지 하구둑은 현재 교통로로 이용되고 있다. 왼쪽 갯벌과 오른쪽의 간척지는 이곳 주민들의 삶의 터전이다. 주민들은 이 삶터들을 어떻게 구성해 나갈 것인가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역간척’을 하게 될 경우 약 100만t의 바닷물이 하루에 두 번씩 112만㎡(34만평)를 오가게 된다.
  
지난달 13일 소포마을에서는 주민투표가 진행됐다. 간척지에 땅을 가진 주민 60명 가운데 40명이 참여했다. 적절한 보상을 전제로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찬성 23명, 반대 13명, 기권 4명의 순이었다. 30년 동안 간척지에서 농사를 지어왔던 주민들을 설득하는 것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갯벌논의의 물꼬를 튼 사람은 마을 주민 김병철씨(46)다. 김씨는 4년 전 마을주민들에게 “하구둑을 트면 어떻겠느냐”는 제안을 했다. 그렇지만 주민들을 설득하는 과정은 결코 녹록하지 않았다.
  
김씨는 “1960년대 시작된 간척사업은 농업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며 “마을 주민들이 발 벗고 나서 1977년 하구둑 공사가 마무리 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마을주민들은 그 수고의 대가로 간척지 땅 30만평을 불하받을 수 있었다.
  
김씨는 “마을주민들이 이 땅을 자신들의 생명처럼 아끼고 보살폈다”며 “그 땅을 다시 바다 속으로 밀어 넣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간척지를 갯벌로 되살리는 꿈을 접을 수는 없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주민 사이에 발생할 지도 모를 유형무형의 갈등이다. 하지만 정부가 나서서 중개역할을 하는 것은 절대 사양이다.
  
김씨는 “주민사이의 갈등 해소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며 “주민회의를 열어 끊임없이 설득하고 서로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간 정부주도의 일방적인 자연환경복원 사업과는 대조되는 방식이다. 주민들과 오랜 시간 충분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대흥포 간척지의 소유권은 소포마을이 75%, 이웃마을인 안치마을에서 25%를 가지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안치마을 주민들은 찬성입장이다. 이제 남은 것은 소포마을 주민들과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최근 국토해양부는 대흥포 간척지를 갯벌복원 시범대상지로 선정하려 했다. 하지만 지역주민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진도의 경우 지역주민의 의지가 있어 역(逆)간척 시범지역 지정이 유력했지만 지역 주민간의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며 “역간척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 주민들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올해 시범지역으로 소포마을이 선정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간척지가 역간척을 통해 갯벌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7~8년의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상적인 갯벌의 경우 표층에서 30㎝아래까지 산소 층이 형성돼 있는데 간척지를 갯벌로 되돌릴 경우 7~8년이 지나야 비로소 염생 습지가 생겨난다는 것. 염생 습지가 생겨나야 생물들이 터를 잡고 땅을 파내려가면서 산소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전남대 전승수 교수는 “염생식물이 자생할 수 있다면 갯벌이 어느 정도 본래의 기능을 회복했다고 볼 수 있다”며 “7~8년 안에 그 성공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또 “역간척 사업을 급하게 진행시킬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을 두고 주민 간의 합의를 이끌어 내야 한다”며 “절대 주민들 간 대화가 끊어져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
  
전 교수는 이어 “자연환경 보전은 과반수가 찬성했다고 토목공사 형식으로 밀어붙이는 것이 아니다”며 “정부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결정에 따라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