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종환이 말하는 ‘나는 왜 문학을 하는가’
저것은 벽/어쩔 수 없는 벽이라고 우리가 느낄 때/그때/담쟁이는 말없이 그 벽을 오른다.//(중략)저것은 넘을 수 없는 벽이라고 고개를 떨구고 있을 때/담쟁이 잎 하나는 담쟁이 잎 수천 개를 이끌고/결국 그 벽을 넘는다.//
시인 도종환의 <담쟁이>는 2009년 한 일간지가 조사한 ‘직장인 100만 명이 뽑은 내 인생의 시 한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는 소위 말해 잘 팔리는 인기 작가다. 시집뿐만 아니라 작품 일부가 다양한 서적이나 참고서에 인용되거나 시 노래로 제작되는 등 인기와 관심을 한 몸에 받는 부러움의 존재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서른두 살, 결혼한 지 2년 만에 아내를 암으로 잃은 아픔이 있었다. 지독한 가난으로 끼니를 거르는 일도 일쑤였고,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을 만들었다는 이유로 자녀들만 남겨두고 교도소에 끌려갔다. 10년 만에 복직됐지만 ‘자율신경실조증’이란 병에 걸려 5년여 기간 동안 칩거해야만 했다. 개략적인 일생만 살펴보더라도 ‘부러움’은 금새 ‘연민’으로 바뀐다.
수차례 방황과 고통의 시간을 겪은 그는 “인간은 더없이 약하고 고독한 존재이다”며 “‘담쟁이’는 시시각각 번민에 쌓이는 우리네 자화상을 보여주고 있어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은 것 같다”고 말했다.
때문에 그가 작품 활동을 하며 염두에 두는 점 역시 ‘내가 울면서 쓰지 않은 시는 남들도 울어주지 않는다’이다. 아픔의 크기만큼 공감의 크기가 존재한다는 것.
시인 도종환에게 있어 문학은 아픔을 승화하고 ‘자신’을 지켜나가는 매개체가 된다.
그는 “누구나 스스로에게 존재감을 부여하며 살아야 한다”며 “이 넓은 우주에서 자신이 주인이 되는(자신의 자리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삶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을 이었다.
그가 문학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삶의 지혜는 자연(생활) 속에서 찾는다. 어떤 날은 꽃향기를 따라, 어떤 날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어떤 날은 햇볕의 따사로움을 따라 발길을 옮기며 자연의 소리를 글로 옮긴다.
그는 “앞만 보고 달려가는 우리에게 행복도 비례해 느껴지는가?”라고 청중을 향해 물으며 “폭넓은 상상력과 시각을 갖고 세상을 바라본다면 우리는 행복해 질 수 있다”고 단언했다.
불쌍한 사람을 보면 어쩔 줄 몰라 하고, 슬픈 것을 보면 펑펑 울고, 아름다움을 보면 감탄하고, 불의를 보면 분노하는 절제되지 않은 감정을 통해 그는 삶의 진정한 의미를 찾는다. 하여 “다른 사람들도 가끔 한 눈 팔고 살기를 기대한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독일 태생의 미국인 시인 사무엘 울만(1840-1924)이 78세에 쓴 <청춘>이라는 시를 인용해 설명을 이었다.
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한 시기가 아니라/ 마음가짐을 뜻하나니/ 장밋빛 볼, 붉은 입술, 부드러운 무릎이 아니라/ 풍부한 상상력과 왕성한 감수성과 의지력/ 그리고 인생의 깊은 샘에서 솟아나는 신선함을 뜻하나니//(후략)
시인은 “인간의 99.9%는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변화는 절망적인 상황을 아름다운 미래로 만들 수 있다”며 “우리는 어제의 나보다 나은 내가 돼야 한다”고 청중을 향해 힘찬 메시지를 던졌다.
한편, 전남대 박물관 2010 문화강좌 다섯 번째 손님으로 드라마<로비스트(2009·SBS)> 등 다수의 극본을 쓴 방송작가 주찬옥 씨가 찾아온다. 주제는 ‘드라마와 인생’이며, 오는 14일 용봉문화관 시청각실(4층)에서 열린다.